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우분투 root 계정 활성화

by 데타 2021. 6. 26.
1. su
Substitute User의 약자.
터미널에서 su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터미널 세션에 한해서 일시적으로 root 계정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 합니다. 해당 터미널 외에 다른 프로그램이나 또 다른 터미널 실행시에는 root 권한을 가지지 않습니다.


2. sudo
superuser do”에서 유래하였으나, 후에 프로그램의 기능이 확장되며
substitute user do”(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의 줄임말로 해석되게 되었다
.

세션에 대한 권한이 아닌 하나의 명령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최고 관리 권한을 가집니다.
유명한 배포판인 우분투(Ubuntu)와 센토스(CentOS)의 경우에는 sudo를 지원합니다. 
또한, sudo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일반 유저를 추가시에 sudo 그룹 안에 속하게 하면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udo 명령을 사용하는 경우 root 계정의 암호를 묻는 것이 아니라, 현재 로그인 된 계정(sudoer)의 암호를 묻습니다.

root 계정 암호 설정하기

$ sudo passwd root

deta@DESKTOP-58M279V:~$ sudo passwd root
[sudo] password for deta: deta  - 현재 로그인된 계정 패스워드
New password: root   - 루트계정 패스워드
Retype new password: root  - 재입력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커맨드 라인(linux command line) 명령어 사용법  (0) 2021.11.03
CentOS7에 Docker설치  (0) 2021.10.14